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공지] NHN AppGuard 주요 업데이트 안내 (2023.08.17) 엔에이치엔클라우드(주)에서 제공하는 "통합 클라우드 서비스" NHN Cloud를 이용해 주시는 고객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NHN AppGuard 서비스의 주요 업데이트에 대한 안내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서비스: NHN AppGuard 내용: 서비스 기능 개선 날짜 상세 기능 2023년 8월 17일 [Android] 1.10.2.2 후킹 탐지 기능 강화 엔진 안정성 개선 [Unity] Android 4.4(API 19)에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오류 수정 [iOS] 1.3.7 엔진 보안성 강화 앱 복호화 방지 기능 강화 CLI에 재서명 기능 추가 기존 제공되던 재서명 스크립트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Unity] 0.1.7 iOS SDK 1.3.7 업데이트 .. 더보기
[중요] 중국 스토어나 유니티의 UDT를 사용하여 앱을 출시하는 경우 이렇게 해주세요! 중국 스토어나 유니티의 UDP를 사용하여 앱을 출시하는 경우 서드 파티 스토어 지원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서드 파티 스토어 지원을 활성화했을 때 들어가는 옵션 값으로 해당 옵션이 활성화되면 보호 작업 시 breakZipFormat 함수를 호출하지 않아 외부 스토어 배포 때 문제가 없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 스토어(중국 스토어, 유니티 UDP 등)를 지원하기 위해 exStore 옵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옵션을 활성화했을 경우 안티 리패키징(repacking 방지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외부 스토어 배포 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exStore 옵션을 CLI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exStore" 옵션을 입력하면 되고 Unity SDK를 사용 중.. 더보기
[중요] 구글 스토어에서 앱 서명 키를 업그레이드 한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안드로이드 버전이 변경이 되면 Google 서명에 대한 변화가 발생합니다. Google Play Console에서 앱 서명 키를 업그레이드한 경우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CLI에서 보호 작업 시 Google Play Console 프로젝트로 이동합니다. 설정 > 앱 무결성> 앱 서명으로 이동합니다. 기존 사용하던 앱 서명 키 인증서의 SHA-256 인증서 지문 A와 업그레이드한 앱 서명 키 인증서의 SHA-256 인증서 지문 B를 복사합니다. (기존 설치된 앱에서 업데이트 시, 기존 서명 키가 사용되어 오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존 NHN AppGuard CLI에서 "--as" 구문과 서명키를 추가합니다. NHN AppGuard 보호작업을 진행합니다. 웹 콘솔에서 보호 작업 시 앱보호의 "앱 서명.. 더보기
[소식] NHN클라우드, 클로버게임즈 신작 게임 ‘잇츠미’에 클라우드 솔루션 공급 [2023.08.03] NHN앱가드로 보안 인프라 구축, 게임베이스로 게임 개발 및 운영 효율화 지원 NHN클라우드, 게임 특화 솔루션 통해 게임사 성과 창출에 기여 중… 일본에서도 NHN앱가드 대형 고객사 확보 엔에이치엔 클라우드(NHN Cloud, 공동대표 백도민, 김동훈, 이하 NHN클라우드)는 게임사 클로버게임즈(대표 윤성국)의 신작 RPG ‘잇츠미(IT’S ME)’에 ‘NHN앱가드(NHN AppGuard)’와 ‘게임베이스(Gamebase)’를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클로버게임즈가 지난 7월 국내 출시한 ‘잇츠미’는 판타지 세계 속 직업과 현대적인 직업을 자유롭게 선택해 채집, 낚시, 벌목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생활형 RPG다. 클로버게임즈는 글로벌 시장에서 700만 이상의 .. 더보기
[칼럼] 모바일 앱 보안 왜 중요할까?(feat. NHN AppGuard) 모바일 앱 보안의 중요성 스마트폰 해킹을 통한 개인정보 데이터 유출, 금전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모바일 앱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게임, 소셜 커머스, OTT(over-the-top)와 같이 대표적으로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해 오던 엔터테인먼트 영역뿐만 아니라 보수적으로 데이터를 취급하는 금융과 핀테크 영역, 그리고 일상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공공, 헬스케어 분야까지 모바일 앱으로 전환되면서 이전에 비해 보다 많은 개인 신상 정보, 거래 이력, 금융 정보들이 앱에서 관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모바일 앱 서비스는 편리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는 한편, 악성코드를 통해 해킹되었을 때는 사용자들의 개인 신상 정보를 탈취하는 것에 끝나지 않고, 보이스 피싱과 같이 2차 범죄로도 확산되어 사회.. 더보기